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소득활동 유형, 급여 및 신청!!!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 소득활동을 하고 있으나 고용보험의 '출산전후휴가급여'를 지원받지 못하는 출산여성에게 출산급여 지원(총 150만원, 월 50만원 X 3월분)을 통해 모성보호와 생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유산·사산의 경우 포함)
지급요건
- 출산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그리고 출산일 현재도 소득활동을 하고 있어야 하며 소득이 발생하여야 합니다.
출산일 현재의 소득활동 유형
근로자
● (①유형) 출산전 3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하고 있고, 고용보험의 출산전후휴가급여 수급요건(출산전후휴가가 끝난 날 이전에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 180일 이상)을 미충족한 근로자
● (②유형) 고용보험법상 고용보험 적용제외 사업 근로자 및 적용제외 근로자
- 농·임·어업 중 법인이 아닌자가 상시 4인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 총공사금액 2천만원 미만 공사, 연면적 100㎡ 이하 건축 또는 200㎡ 이하 건축물의 대수선 공사에 종사하는 근로자
* 고용보험법 적용제외 사업의 입증 : 관련 업종이 명시된 사업자등록증 또는 공적기관 등이 발급한 확인서(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축산업허가증, 어업경영체등록확인서, 어업허가증, 임업후계자증서,공사금액이 명시된 도급계약서 등)
- 소정근로시간이 월 60시간 미만인 근로자(주 15시간 미만 포함)
● (③유형) 고용보험 미성립 사업장 소속의 고용보험 미가입 근로자(고용보험 가입 의무가 있는 사업장이지만 성립신고를 하지 않아, 소속 근로자 또한 피보험자격을 갖지 못한 경우)
1인사업자
● 1인사업자는 출산일 현재 피고용인이 없는 단독 및 공동사업자, 다만, 예외적으로 출산일 이전 3개월 이후 보조인력을 채용한 경우 지원가능
* 공동사업자의 경우 명의·실질 모두 공동사업자인 경우에 한함
*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출산여성이 부부 공동명의의 '경영제등록확인서'를 제출한 경우 지원대상으로 인정
* 부동산임대 관련한 소득활동은 불인정
● (④유형) 1인사업자로서 출산일 전전년도~당해년도 사업에 대한 세금신고(부가세, 소득세) 사실이 있는 자
● (⑤유형) 1인사업자로서 출산일 전전년도~당해년도 사업에 대한 세금신고 사실이 없는 자
그 밖의 소득활동을 하는 여성
● (⑥유형)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특수형태 근로자 및 자유계약자(프리랜서) 등
* 특수형태 근로자(9개직종) : 보험설계사, 건설기계운전원, 학습지교사, 골프장캐디, 택배원, 퀵서비스배송원, 대출모집인, 신용카드회원모집인, 대리운전원
신청서류
● 출산(또는 유산·사산) 사실 및 출산일 현재의 소득활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공통)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유산·사산)급여 신청서
-출산자녀가 등록된 주민등록표등본(유산·사산한 경우는 임신기간이 명시된 의료기관 진단서)
-출산 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의 소득활동한 증빙자료(사업 또는 노무제공 입증자료 및 소득발생 입증자료)
* 일용직근로자 및 고용보험법적용제외자(②유형)는 출산전 1개월 중 10일 이상 근로한 사실을 입증하면 ‘출산일 현재 근로’하는 것으로 인정합니다.
(②유형, ③유형)
- 고용보험 미가입 확인서(소정 양식, 사업주가 작성), 재직증명서, 급여이체내역(통장사본)
(④유형)
-사업자등록증
-출산한 해의 전전년도~당해년도 사업활동에 대한 세금신고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1건 이상)
예)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원, 부가가치세면세사업자수입금액증명, 소득금액증명원 또는 표준재무제표증명원
(⑤유형)
-사업자등록증
-출산일 이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발생 증빙자료
예) 카드매출영수증, 매출세금계산서 등
(⑥유형)
-소득활동 증빙자료 : 예) 근로계약서, 도급계약서, 재직증명서, 경력증명서 등
-출산일 이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발생 증빙자료 : 예) 노무제공의 대가 입금내역, 소득세원천징수 내역 등
* 과거에 근로자 또는 사업자 경력이 있더라도, 현재 ⑥유형에서의 소득발생 사실을 반드시 1건 이상 증빙해야 함
● 담당공무원으로부터 요건확인을 위한 추가서류 제출 요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시기 및 횟수
- 신청시기 : 출산일 ~ 출산일로부터 1년이내에 신청가능합니다. (※ 신청기간 내 1번만 신청가능하며 미신청시 소멸)
급여지급
- 총 150만원 (월 50만원 X 3월분)
- 유산·사산의 경우는 임신기간에 따라 급여수준과 지급횟수 상이합니다.
임신기간 15주까지 : 30만원 / 16~21주 : 50만원 / 22주~27주 : 100만원 / 28주 이상 : 150만원
지급결정 및 방법
● 신청접수 후 14일 이내 지급여부를 결정하여, 신청서에 기재한 본인 계좌로 입급됩니다.
* 신청시 제출한 증빙자료로 요건확인이 곤란할 경우 보완 요청이 있을 수 있고, 처리기간은 그만큼 연장됩니다.
신청방법
- 신청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www.ei.go.kr, 인증서로 회원가입 필요) 또는 거주지 또는 소속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신청 및 우편신청이 가능합니다.
- 문의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 1350
https://augustfamily.tistory.com/351
(2024 법 개정예정)육아휴직(부부동시) 지급대상, 지급액, 지급제한 및 급여특례!!! + Q&A!!!
(2024 법 개정예정)육아휴직(부부동시) 지급대상, 지급액, 지급제한 및 급여 특례!!! + Q&A!!! 육아휴직(부부동시) 육아휴직급여는 만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그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213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경감 사유(육아휴직자 건강보험료 폭탄???)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경감 사유(육아휴직자 건강보험료 폭탄???) 휴직자 보험료 경감 2007.07.01. 이후에 복직하는 자의 휴직기간 동안 보수월액보험료부터 적용 무보수 휴직 (휴직기간에 보수를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343
실업급여(구직급여) 지급액, 소정급여일수 및 Q&A!!!
실업급여(구직급여) 지급액, 소정급여일수 및 Q&A!!! 구직급여액 구직급여 지급액 = 이직 전 평균임금의 60% x 소정급여일수 (이직일이 2019.10.1 이전은 퇴직 전 평균임금의 50% × 소정급여일수) 단,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203
2023년 세법개정안 결혼·출산·양육 지원 (2023.07.27.)
결혼·출산·양육 지원 혼인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 신설(상증법) 혼인신고일 전후 각 2년 이내(4년간)에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은 1억원 추가공제 < 증여재산 공제한도 > 구 분 현 행 개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209
국민건강보험 보험료 조정(소득중단 or 소득이 낮아진 경우 등) 과 조정 절차
지역·소득월액 보험료 조정의 취지 직장, 공무원·교직원 가입자는 전년도에 지급받은 보수의 총액을 기준으로 산정된 보험료를 부담하는 반면에 지역가입자 및 소득월액 보험료 납부 대상자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199
피부양자 인정 기준(소득 및 재산 요건) 및 피부양자 신청 시 필요 서류
건강보험공단에 피부양자를 등록해야 하는 경우 회사 관련부서에 다음의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가족 피부양자 신청 시 필요 서류 안내 1. 부모님 등록 시 부모님 이름으로 된 가족관계 증명서 2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197
휴직 중(육아휴직, 병가 등) 퇴직(퇴사) 시 4대보험 처리 방법
휴직 중(육아휴직, 병가 등) 퇴직(퇴사) 시 4대보험 상실 신고 방법 휴직중인 직원의 중도 퇴사 시에 4대보험 상실 신고 방법 안내 1. 국민연금 → 바로 상실신고 가능 * 연간 보수총액 금액이 없을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192
연말정산 배우자 공제 가능한가???(총급여/연간소득금액)
배우자 공제 ▶ 총급여 500만원 이하 : 연봉(급여+상여+수당+인정상여) - 비과세소득 ▶ 연간소득금액의 합이 100만원 이하(근로소득 + 기타소득) ※ 소득금액 = 소득총액 - 비과세소득 - 분리과세소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200
연금저축 세액공제, 중도해지(인출) 시 과세 및 연금수령 시 과세
연금저축 세액공제 연금저축상품은 연말정산(또는 종합소득신고) 시 세액공제 혜택을 부여하고,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를 부과합니다. 세액공제율 종합소득 과세표준 총 급여액 (근로소득금
augustfamily.tistory.com
'세무회계 > 고용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인 출산전후 급여 등 지급조건, 지급액 및 신청방법!!! (0) | 2023.10.31 |
---|---|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지급 대상, 기간, 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3.10.31 |
(2024 법 개정예정)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_지급대상, 지급액 및 신청방법!!! (2) | 2023.10.31 |
(2024 법 개정예정)육아휴직(부부동시) 지급대상, 지급액, 지급제한 및 급여특례!!! + Q&A!!! (2) | 2023.10.31 |
출산전후(유산,사산)휴가 급여, 기간 및 신청방법 + Q&A!!!! (1)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