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채움공제 유형별 세액공제 적용 예시
[사례1] 공제가입 핵심인력이 특수관계인에 해당 될 경우
※ (예시) 기업기여금으로 매달 5일에 철수(일반직원)는 月30만원, 영희(대표자의 배우자)는 월 50만원을 미납 없이 납입
구분 | 2016년 | 2017년 |
철수(일반직원) | 360만원 | 360만원 |
영희(대표이사의 배우자) | 600만원 | 600만원 |
합계 | 960만원 | 960만원 |
‘16년도와 ‘17년도에 해당되는 일반연구·인력개발비에 해당되는 납입비용은?
‘16년도의 경우: 기업기여금 총액(960만원)이 일반연구·인력개발비 해당 납입비용
‘17년도의 경우: 총 기업기여금 960만원에서 법시행일(‘17.3.17) 이후 특수 관계인에 대해 납입한 금액(4~12월분, 450만원)을 제외한 기업기여금인 510만원이 납입비용에 해당됨.
⇒ ex) 세액공제 금액 : 510만원 X 25% = 127.5만원(해당 연도 총 발생액 기준)
* 해당 연도 총 발생액 기준 (25%) 또는 전년대비 증가 발생액 기준(50%) 선택 가능
[사례2] 핵심인력이 중도해지할 경우
※ (예시) 기업기여금으로 철수, 영희, 민수에 대해 月30만원을 미납 없이 납입 (법 시행일 ‘17.1.1일로 가정)
구분 | 2017년 | 2018년 | 비고 |
철수(月 30만원) | 360만원 | 360만원 | |
영희(月 30만원) | 360만원 | 360만원 | |
민수(月 30만원) | 360만원 | 180만원 | 해지환급금 : 540만원 |
합계 | 1,080만원 | 900만원 |
민수가 ‘18년 6월까지 납입하고 중도해지하였을 경우, ‘18년도의 일반연구·인력개발비 해당 납입비용은?
‘18년도 총 기업기여금인 900만원에서 민수의 중도해지 환급금액 540만원을 차감한 360만원만 납입비용에 해당됨.
⇒ ex) 세액공제 금액 : 360만원 X 25% = 90만원
* 해당 연도 총 발생액 기준 (25%) 또는 전년대비 증가 발생액 기준(50%) 선택 가능
[사례3] 세액공제 대상 금액보다 해지환금금이 더 많을 경우
※ (예시) 기업기여금으로 철수, 영희, 민수에 대해 月30만원, 길동은 月50만원을 미납없이 납입(법 시행일 ‘17.1.1일로 가정)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비고 |
철수(月 30만원) | - | 360만원 | 360만원 | 360만원 | |
영희(月 30만원) | - | 360만원 | 360만원 | 360만원 | |
민수(月 30만원) | - | 360만원 | 360만원 | 30만원 | |
길동(月 30만원) | 600만원 | 600만원 | 300만원 | - | 해지환금금 : 750만원 |
합계 | 600만원 | 1,680만원 | 1,380만원 | 750만원 | 해지환금금 : 1,500만원 |
길동이 ‘19년 6월까지 납입하고 중도해지하였을 경우, ‘19년도의 일반연구·인력개발비에 해당되는 납입비용은?
‘19년도 총 기업기여금인 1,380만원에서 길동의 중도해지 환급금액 1,500만원을 차감하면 0원으로 납입비용으로 인정되는 금액 없음(미차감 금액 120만원 발생)
민수가 ‘20년 1월까지 납입하고 중도해지하였을 경우, ‘20년도의 일반연구·인력개발비에 해당되는 납입비용은?
‘20년도 총 기업기여금인 750만원에서 민수의 해지환급금 750만원과 ‘19년도 미차감금액 120만원을 차감하면 0원으로 납입비용으로 인정되는 금액 없음
* 이전과세연도에 빼지 못한 금액이 있는 경우
[사례4] 미차감금액이 존재하나 다음해에 공제가입자가 없을 경우
※ (예시) 철수가 ‘17년도에 공제에 가입하고 ‘18년도에 해지, 영희가 ‘20년도에 공제에 가입 (법 시행일 ‘17.1.1일로 가정)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비고 |
철수(月 30만원) | 360만원 | 180만원 | - | - | 해지환금금 : 540만원 |
영희(月 50만원) | - | - | - | 600만원 | |
합계 | 360만원 | 180만원 | - | 600만원 |
철수가 ‘18년 6월까지 납입하고 중도해지하였을 경우, ‘18년도의 일반연구·인력개발비에 해당되는 납입비용은?
‘18년도 총 기업납입금인 180만원에서 철수의 중도해지 환급금액 540만원을 차감한 금액을 제외하면 0원으로 ‘18년도에는 납입비용으로 인정되는 금액 없음
* 차기 납입비용 발생시까지 미차감금액(360만원)은 이월
‘20년도에 추가 가입한 경우, 일반연구·인력개발비에 해당되는 납입비용은?
‘20년도 총 기업납입금인 600만원에서 ‘18년도 미차감금액 360만원을 차감한 240만원이 ‘20년도 일반연구·인력개발비에 해당되는 납입비용.
과세표준구간별 절세 효과 예시
【가입예시】月 25만원 × 4명 가입, 중소기업에서 年 1,200만원 납입
【절세효과】최소 372만원(31%)에서 최대 804만원(67%) 절세효과 발생
* 법인세, 소득세에 대한 절세효과 (지방소득세 미포함
https://augustfamily.tistory.com/97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기여금에 대한 회계 및 세무 처리 안내
중소기업 기여금(납입금)에 대한 손금 또는 필요경비 귀속시기 비용처리하는 매 사업연도에 손금 또는 필요경비로 인식 중소기업 기여금을 반영한 세액 계산 흐름도 중소기업 기여금(납입금)에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98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기여금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안내
중소기업 기여금(납입금) 세액공제 적용(중견기업 제외) ◦ 중소기업 기여금(납입금)은 조세특례제한법(10조 ① 3)에 따른 일반연구‧ 인력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 ◦ 법인세 또는 사업소득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218
근로자 입사(복직)시 소득월액 신고 Q&A
근로자 입사(복직)시 소득월액 신고 Q&A https://augustfamily.tistory.com/217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내용정정신고서_취득시 신고소득월액이 과소신고된 경우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 내용정정신고서_취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206
자기차량운전보조금 비과세 Q&A_ex) 자녀와 공동명의 차량도 가능한가? 기타등등..
자기차량운전보조금 (비과세 20만원) Q&A [관련법령] 소득세법 시행령 제12조 3호 1)종업원이 소유하거나 본인 명의로 임차한 차량을 2)종업원이 직접 운전하여 사용자의 업무수행에 이용하고 3)시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198
고용/산재 보험관계 변경 신고서 제출(변경된 날부터 14일이내 제출)
고용/산재 보험관계 변경 신고 1. 성립(승인)된 보험관계의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보험관계 변경사항 신고 보험가입자(법인인 경우 대표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사업의 명칭 및 소재지, 사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188
연말정산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받을 수 있을까???(세대주/세대원 가능)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무주택 또는 1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세대주(예외적으로 세대원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외국인 포 함)인 근로자가 취득당시 기준시가 5억원 이하인 주택(주거용
augustfamily.tistory.com
'세무회계 > 내일채움공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기여금 일반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 안내(세액공제 적용 배제 있음) (0) | 2023.03.30 |
---|---|
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기여금에 대한 회계 및 세무 처리 안내 (0) | 2023.03.30 |
내일채움공제 세액감면 자주묻는 질문과 답변(Q&A) (2) | 2023.03.30 |
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시 해지환급금 계산서 및 이자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0) | 2023.03.09 |
내일채움공제(만기) 회사기여금 : 근로소득세 과세 대상(연말정산 시)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