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민연금 6

2024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2024.07-2025.06 급여 반영)

2024년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2024.07-2025.06 급여 반영)!!!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액과 하한액은 사업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전원의 평균소득월액을 3년간 평균한 값의 변동률에 연동*하여 매년 7월 조정됩니다. 올해에도 기준소득월액 상ㆍ하한액이 아래와 같이 변경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민연금법 시행령 제4조(평균소득월액의 산정 방법), 제5조(기준소득월액 및 적용기간)  ○ 기준소득월액 상ㆍ하한액 결정사항 및 적용기간적용 기간2023.7.1. ~ 2024.6.30.2024.7.1. ~ 2025.6.30.하한액370,000원390,000원상한액5,900,000원6,170,000원 ※ 상ㆍ하한액은 매년 변동되므로, 취득(납부재개)시 실제 소득금액으로 신고하여..

연금 생활자가 세금에 대해 궁금한 5가지[김동엽의 금퇴 이야기]

연금 생활자가 세금에 대해 궁금한 5가지[김동엽의 금퇴 이야기] 내년도 세법 개정안에 연금소득에 대한 분리과세 기준금액을 1200만 원에서 1500만 원으로 상향예정. 연금소득 1200만 원이 넘으면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과세를 한다. 1200만 원에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소득이 포함되는 건 아니다. 1200만 원은 사적연금소득을 분리과세할지, 종합과세할지 판가름하는 기준일 뿐이다. 세액공제를 받고 저축한 금액과 운용수익을 재원으로 한 연금소득이 1200만 원을 넘는 경우에만 해당 연금소득 전부를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과세한다. 가입자가 희망하면 종합과세 대신 분리과세(세율 16.5%)를 신청할 수 있다.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

세금 2023.09.21

국민연금 반납제도란?

국민연금 반납제도란? 예전에 수령했던 반환일시금에 이자를 더해 공단에 반납함으로써, 국민 연금 가입기간을 복원해 연금수령액을 늘릴 수 있는 제도(1999년 이전에는 가입자 자격 상실 후 1년 경과하면 반환일시금 청구 가능했음). 국민연금은 연금액 산정시 ‘소득대체율’이 반영됩니다. ‘소득대체율’이란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40년으로 전제했을 때 본인의 평균소득월액 대비 수령하게 되는 연금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2023년 현재 소득대체율은 42.5%로 국민연금 기금의 안정화를 위해 매년 0.5%씩 낮아져 2028년 이후에는 40%가 될 것입니다. 구분 1988년~1998년 1999년~2007년 2008년~2027년 2028년 이후 소득대체율 70% 60% 50% (매년 0.5%씩 감소) 40% 위의 표에서 볼..

재테크 2023.04.14

국민연금 추납이란?[추후납부]

국민연금 추납이란?[추후납부] ● 납부예외 기간과 연금보험료 납부 이후 적용제외 기간 동안의 보험료를 추후에 납부하여 가입기간을 늘릴 수 있음 (단,120개월미만으로신청가능) ● 추납을 신청하려면 먼저 납부예외·적용제외 기간이 있는지 확인해야 함 추납(추후납부)은 국민연금에는 가입되어 있으나 실직·사업중단 등으로 보험료를 납부할 수 없었던 기간(납부예외 기간)이 있거나 연금보험료를 1개월이라도 납부한 이후에 경력단절 등으로 국민연금 적용이 제외된 기간(적용제외 기간)이 있을 경우 이를 납부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입기간을 늘려주는 제도입니다. 가입기간이 인정된 만큼 받는 연금액도 늘어나게 됩니다. 여기에서 추납이 가능한 적용제외기간이란 무소득배우자(1999년 4월 1일 이후), 국민기초생활 보장수급자(200..

재테크 2023.04.14

국민연금 크레딧(출산/군복무/실업)

국민연금 크레딧(출산/군복무/실업) [출산크레딧] 2008년 1월 1일 이후에 둘째 자녀 이상을 얻은 경우(출산, 입양 등)에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해주는 제도 인정기간 자녀가 2명인 경우 12개월, 3명 이상 부터 1인 마다 18개월 추가 인정(최장 50개월) 대상 부부가 둘 다 노령연금 수급권이 발생한 경우 두명 중 한명에게 적용 (균분 지급 가능) 2008.01.01. 이후에 얻은 자녀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 2007.12.31. 이전에 얻은 자녀 수 0인 0 12 30 48 50 50 1인 12 30 48 50 50 50 2인 18 36 50 50 50 50 3인 18 36 50 50 50 50 4인 18 36 50 50 50 50 5인 18 36 50 50 50 50 ...

재테크 2023.04.14

4대보험 요율 및 모의계산 사이트(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4대보험 요율 및 모의계산 사이트(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 → 보험료계산기 클릭 4대 사회보험료 전체 모의계산 → 보험료 계산 건강보험요율(장기요양보험요율) 국민연금요율 고용보험요율 산재보험요율 https://www.4insure.or.kr/ins4/ptl/Main.do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4대 사회보험 민원신고를 한번에! 사업장 및 개인회원의 전자민원신고, 가입내역조회 및 증명서 발급 민원을 신청하세요! 사업장 회원 로그인 개인 비회원 로그인 www.4insure.or.kr https://augustfamily.tistory.com/205 연말정산 시 인적공제 연간소득금액 100만원 기준은??? (Q&A 2탄)_연금소득 / 퇴직소득 / 양도소득 / 연금소득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