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부부 자산관리(계좌관리/통장합치기)

Family in August 2023. 3. 13. 13:42
반응형

 

 

씨드머니 모으기

 

부부가 결혼을 하고 씨드머니를 최대로 모을 수 있는 기간은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이다.

아이를 위해 들어가는 돈이 제일 적은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양가 도움 없이 시작한 부부라면 정신차리고 열심히 돈을 모아야 한다.

이 시기를 절대 놓쳐서는 안된다!!!

맞벌이를 통해 적어도 50% 많게는 80%까지 최대한 돈을 모아야 한다.

맞벌이 세후 500만원으로 시작하더라도 평균 300만원씩 저축한다면 1년이면 3,600만원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까지는 7년이라고 2억1천만원을 모을 수 있는 금액이다. 물론 이 금액은 최소한의 금액이다.

2억1천만원에 각자 결혼 전까지 열심히 잘 모았다면 1억이상은 추가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맞벌이 금액은 늘어날 것이고 이직이라도 한다면 연봉을 올려가기 때문에 더 모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 금액을 씨드머니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집을 구입하는 일이다.

열심히 산다면 처음 1억 모으기가 어렵지 1억이 2억되고 2억이 3억되는 순간은 꼭 찾아온다.

그렇다면 계좌는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

10년동안 합산하여 부부간 증여는 6억까지는 비과세이다.

남편 혹은 아내의 월급을 한달에 500만원씩 보낸다면 10년동안 6억이기 때문에 이 정도까지는 상관이 없다는 말이다.

남편에게든 아내에게든 급여를 주는 쪽이 500만원이 안된다면 통장을 서로 합칠 것을 권유한다.

한쪽 통장에 몰아서 관리하게 되면 정해둔 저축액 50% 혹은 60%, 70%의 금액을 제한 나머지 금액을 1년 토탈 예상수입금액을 설정하고 12달로 나눈 후 한달에 정해진 금액만을 생활비에 사용한다.

한명의 월급은 모두 저축하고 다른 한명의 월급으로 생활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보다는 통장을 합쳐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통장 관리는 부부 중 경제관념이 있고 각종 공과금 등 신경써서 연체되지 않도록 늘 계좌를 들여다보는 취미(?)를 가진 쪽이 하면 된다. 

요즘에는 부부가 각자 생활비를 각출하고 나머지는 알아서 저축한다고 하는데 재테크 관점에서 이 방법은 아주 비추한다.

저축이 얼만큼 되고 있는지도 모를 뿐더러 돈을 모으는 데 있어 게을러 질 수 있기 때문이다.

통장을 하나로 합치고 월 평균 저축금액을 정하고 월 평균 생활비를 구해 꾸준히 실천하고 재정상태를 공유한다면  언젠가는 어느정도는 여유를 부려도 되는 시점이 반드시 오게 될 것이다.

 

 

https://augustfamily.tistory.com/192

 

연말정산 배우자 공제 가능한가???(총급여/연간소득금액)

배우자 공제 ▶ 총급여 500만원 이하 : 연봉(급여+상여+수당+인정상여) - 비과세소득 ▶ 연간소득금액의 합이 100만원 이하(근로소득 + 기타소득) ※ 소득금액 = 소득총액 - 비과세소득 - 분리과세소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188

 

연말정산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받을 수 있을까???(세대주/세대원 가능)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무주택 또는 1주택을 보유한 세대의 세대주(예외적으로 세대원 및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외국인 포 함)인 근로자가 취득당시 기준시가 5억원 이하인 주택(주거용

augustfamily.tistory.com

https://augustfamily.tistory.com/196

 

연말정산 형제자매 기본공제 가능한가?(총급여, 소득금액 주의)

연말정산 형제자매 기본공제 ▶ 총급여 500만원 이하 : 연봉(급여+상여+수당+인정상여) - 비과세소득 ▶ 연간소득금액의 합이 100만원 이하(근로소득 + 기타소득) ※ 소득금액 = 소득총액 - 비과세

augustfamil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