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 2

[Python] 정규식을 활용하여 알파벳과 숫자가 섞인 단어 제거

숫자와 알파벳이 여러 번 섞인 단어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복잡한 정규표현식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숫자와 알파벳이 여러 번 섞인 경우를 구분하여 제거하는 예시 코드입니다: import re text = "단어1 단어2 ab12e45 영어문장 XYZ123 A123B456C" # 숫자와 알파벳이 여러 번 섞인 패턴을 정규표현식으로 설정 mixed_pattern = '[a-zA-Z]+\d+[a-zA-Z\d]+|[a-zA-Z]+\d+|\d+[a-zA-Z]+' # 정규표현식 패턴과 일치하는 부분을 빈 문자열로 치환하여 숫자와 알파벳이 여러 번 섞인 부분 제거 cleaned_text = re.sub(mixed_pattern, '', text) print(cleaned_text) 위 코드에서 정규표현식 패턴 \..

파이썬에서 정규 표현식 활용하기: re 모듈을 이용한 문자열 검색 및 추출

정규 표현식은 문자열에서 특정한 패턴을 찾거나 추출할 때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파이썬에서는 re 모듈을 사용하여 정규 표현식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e 모듈을 사용하여 문자열에서 패턴을 찾거나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 모듈의 기본 사용법 re 모듈을 사용하려면 먼저 모듈을 import해야 합니다. 그리고 re 모듈에서 제공하는 함수를 사용하여 정규 표현식을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문자열에서 숫자만 추출하는 정규 표현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 text = "Today is March 21, 2023" pattern = r'\d+' result = re.findall(pattern, text) print(result) #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