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은 딕셔너리와 세트라는 유용한 데이터 타입을 제공합니다.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이며, 세트는 중복되지 않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 딕셔너리와 세트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초보자를 위한 간단한 튜토리얼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딕셔너리(Dictionary)
딕셔너리 생성하기
파이썬에서 딕셔너리를 생성할 때는 중괄호({})를 사용하며, 키와 값을 콜론(:)으로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이름과 나이를 저장하는 딕셔너리를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person = {'name': 'John', 'age': 30}
딕셔너리 값 추가하기
새로운 키-값 쌍을 딕셔너리에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person['gender'] = 'male'
딕셔너리 값 조회하기
딕셔너리에서 값을 조회할 때는 키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print(person['name']) # 'John'
존재하지 않는 키를 사용하면 KeyError가 발생합니다.
print(dic['address'])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KeyError: 'address'
딕셔너리에 키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in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dic = {'name': 'John', 'age': 25, 'gender': 'Male'}
print('name' in dic)
#True
딕셔너리 값 수정하기
딕셔너리에서 값을 수정하려면 해당 키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person['age'] = 40
딕셔너리 값 삭제하기
딕셔너리에서 값을 삭제하려면 del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del person['gender']
세트(Set)
세트 생성하기
파이썬에서 세트를 생성할 때는 중괄호({})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부터 5까지의 정수를 저장하는 세트를 생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numbers = {1, 2, 3, 4, 5}
세트 값 추가하기
새로운 값을 세트에 추가하려면 add()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numbers.add(6)
세트 값 제거하기
값을 제거하려면 remove()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numbers.remove(1)
세트 연산
파이썬의 세트(set)는 집합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자료형입니다.
따라서 집합 연산을 지원합니다.
교집합(&)
두 세트의 교집합을 구하려면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set1 = set([1, 2, 3, 4, 5])
set2 = set([3, 4, 5, 6, 7])
set1 & set2
#{3, 4, 5}
합집합(|)
두 세트의 합집합을 구하려면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set1 = set([1, 2, 3, 4, 5])
set2 = set([3, 4, 5, 6, 7])
set1 | set2
#{1, 2, 3, 4, 5, 6, 7}
차집합(-)
두 세트의 차집합을 구하려면 -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set1 = set([1, 2, 3, 4, 5])
set2 = set([3, 4, 5, 6, 7])
set1 - set2
#{1, 2}
이번 글에서는 딕셔너리와 세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파이썬 기초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Python)에서 날짜와 시간 다루기: datetime, timedelta 모듈 활용하기 (0) | 2023.03.21 |
---|---|
파이썬(Python)으로 숫자 다루기 (2) | 2023.03.21 |
파이썬(Python) Dataframe 내 리스트가 문자열로 변경되었을때 처리방법 (0) | 2023.03.17 |
파이썬(Python) DataFrame에서 각 컬럼(Column)의 문자열 합치는 방법 (0) | 2023.03.14 |
파이썬(Python)을 활용한 구글 번역기 사용 방법 (1) | 2023.03.14 |